본문 바로가기

해외육아교육제도

핀란드 학교는 왜 숙제가 적을까? 실제 운영 방식과 체크리스트

숙제가 거의 없다’는 말, 진짜일까?

 

숙제.... 숙제전쟁.... 오늘도 저를 괴롭게 하는 일인데요.

핀란드에 ‘숙제가 아예 없다’는 오해가 있지만, 정확히는 다른 나라보다 숙제가 적은 편입니다.

핀란드 교육청 공식 자료에서도 학교 수업 시간 자체가 짧고, 숙제량도 상대적으로 낮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핵심은 ‘양’보다 학습 태도와 자기주도성을 기르는 데 초점이 있다는 점이에요.

부모들이 아이에게 가르쳐주고 싶은 최고의 것이죠!

 

핀란드 학교는 왜 숙제가 적을까? 실제 운영 방식과 체크리스트

 

 

"수업·휴식 리듬이 숙제를 대체한다"

 

 

핀란드 초등 현장은 '집중 수업 뒤 10~15분 휴식(대체로 실외 활동)'을 여러 번 반복합니다.

전국 법으로 쉬는 시간을 분 단위로 강제하진 않지만, 실제로는 45수업 후 15분 휴식이 보편적이에요.

이 구조 덕에 수업 중 과제를 충분히 소화하고, 집에 가져갈 ‘양치기’ 숙제가 줄어드는 거죠.

연간 수업 시간이 낮은 편이라 수업-휴식-회복의 사이클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문화가 정착돼 있답니다. 

 

 

숙제는 ‘교사 전문성’과 ‘학교 자율’ 안에서 최소화

 

 

핀란드는 국가 교육과정의 큰 틀만 정하고, 교실 운영·평가·숙제는 학교·교사 자율이 커요.

그래서 숙제는 복습·확인 수준의 짧은 과제나 읽기·탐구형 미션이 중심입니다.

목표는 분량이 아니라 아이의 동기를 꺼뜨리지 않는 과제 설계.

이 ‘중앙 기조 + 지역·학교 자율’ 구조가 숙제가 적은 문화를 가능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핀란드 학교는 왜 숙제가 적을까? 실제 운영 방식과 체크리스트

 

한국 가정 적용 체크리스트

  • 수업 리듬 흉내 내기: 집공 40~50분 → 야외 산책/스트레칭 10~15분
  • 분량 대신 목표: “문제 30개”보다 “개념 1개를 설명하기”
  • 과정 기록: 오늘 배운 것 3줄 요약 + 궁금한 점 1개
  • 읽기 고정 루틴: 매일 15분, 소리 내어 읽기/부모와 교대 읽기
  • 보상은 시간으로: 틀린 개수로 혼내지 말고, 해낸 과정에 짧은 자유 시간 보상

 

제가 요즘 아이와 숙제때문에 한참 애쓰는 중이었거든요.

어떻게하면 아이가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게 할지, 그 과정에서 화를 어떻게 참아낼 것인가...

오늘 적용점을 스스로 실천해보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다음은 핀란드 마지막 편으로, 핀란드 부모들이 자녀 교육을 돕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